2012년 5월 26일 홍릉 수목원에 갔다.
홍릉수목원은 1922년 조성된 우리 나라 최초의 수목원이다.
조선왕조 고종의 왕비인 명성황후의 능인 ‘홍릉’ 이 있었던 곳으로 '홍릉수목원’이라 이름 붙여졌다.
1920년대부터 전국 각지로부터 종자 및 묘목을 수집하면서 수목원의 체계가 세워졌다.
초기에는 버드나무원, 오리나무원, 고산식물원, 관목원, 약용식물원 등으로 관리되어 1948년까지 수집 보존된 석엽표본은 목•초본 식물을 합하여 약 4,000여종(약 30만 여점)에 달하였으나 한국전쟁 중 모두 소실되었다.
그 후 북한에 자생하는 일부 수종을 제외한 남한에 분포하는 수종은 대부분 수집을 완료하여 표본관을 복구하였다.
1960년대까지는 총 면적이 99ha에 이르렀으나 그 후 일부가 한국과학기술과학원 등으로 관리 전환되어 현재 44ha가 남아있다.
서울의 동쪽 천장산(141m) 남서 사면에 위치하고 있으며 오리나무, 물갬나무, 리기다소나무, 아까시나무 등으로 사방 조림되었다.
그 외 지역은 화백과 국내 자생수목인 잣나무, 전나무 등을 소나무림 아래 식재하여, 현재의 복층림으로 조성되었다.
1993년 4월부터 매주 일요일 자연 학습 및 환경 교육을 위하여 일반인에게 개방하고 있으며 얼마전부터는 토요일도 개방한다.
한 곳에서 즐기는 식물 여행.
수목원은 사계와 목종에 따라 제1수목원에서 제8수목원,그리고 난대식물원,조경수원, 무궁화원, 약용식물원으로 구분되어 있다.
제1수목원(침엽수원); 정문으로들어서면서 바로 왼편에 있으며으로 연구원 내에서 가장 크고 아름다운 수형을 가진 튤립나무를 볼 수 있다.
제2수목원(침엽수원);정문에 들어서면서 오른편에 위치하고 있으며 울타리를 따라서 낙우송 거목 들이 메타세쿼이어와 함께 웅대하게 서있다.
제3수목원(활엽수원); 제1수목원과 이웃하고 있는 활엽수원이다. 5월이면 붉은 빛이 도는 백색의 꽃이 아름다운 야광나무를 볼 수 있다.
제4수목원(활엽수원);은 제2수목원과 이웃하고 있는 활엽수원으로 세계적으로 희귀한 시원한 느낌의 망개나무를 볼 수 있다.
제5수목원(침엽수원);본관옆의 나로니에 쉼터를 지나면서 만나는 침엽수림으로 남한 내에는 오직 한 그루인 풍산가문비나무가 자리잡고 있다.
제6수목원(초본식물원); 연구원동 왼편으로 있다.
1960년대 이후부터 우리나라 전국의 표고 600m이상의 산지에서 채취한 초본식물이 조성되어 있다.
제7수목원(관목원);1967년 이후에 조성된 곳으로 고산식물원을 지나면서 시작되며 숲의 상층은 나무들로 우거져있고 봄, 여름 내내 꽃을 볼 수 있다.
봄이 한창이면 시원한 꽃향기가 숲을 덮는다.
제8 수목원(활엽수원);연구동을 지나 화백숲 오른쪽으로 작은 길이 나타나는데 골짜기가 있는 곳으로 1966년 이후 조성되었다.
우리나라 특산수종과 희귀 멸종 위기식물을 볼 수 있다. 습지원은 1999년 산림과학관 개관에 맞추어 그 주변을 조경하였다.
식물생태 보존을 위해서 정문부터 진입로를 나무판자로 만들었으며 그 주변에 인공 습지를 조성하였다.
난대식물원; 약초원을 지나면 유리온실이 나온다 이 유리온실 내부를 4개 난대지역으로 구분하여 지역별 자생종을 전시하고 있다.
조경수원;연구동 왼편으로 비교적 넓게 포장된 길을 따라 올라가면 '조경인의 숲'이라 새겨진 커다란 암석이 눈에 들어오면서 조경수원이 넓게 펼쳐진다.
무궁화원; 정문에서 본관을 향하는 양쪽 길로 무궁화가 품종별로 식재되어 있으며 그 뒤로는 은행나무가 심어있다.
약용식물원은;정문 왼편에 난 작은 길을 따라가면 있다.
식물원을 둘러 보면서 주로 야생화에 관심을 갖고 담아 보았다
꽃창포
뻐꾹채-엉겅퀴와 비슷하다
양지꽃
산딸기 나무-꽃가운데 수술들의 뭉치가 꼭 익지 않은 산딸기와 같아서 붙여진 이름이란다
철쭉--특이한 것은 한송이꽃에 붉은줄 무늬가 있고 한나무에 흰꽃과 붉은 꽃이 다 피고 있다
갑자기 하늘이 검어 지더니 오색 상운이 나타 났다. 북극지방의 오로라와 같은 현상으로 길조라는데....과연...
숲 해설사와 함께 재미있는 예기를 들어면서..
접사로 잡은 산마늘
들꿩
돈나물
매발톱
엉겅퀴
천남성
너도 밤나무
나도 밤나무
산딸기
개국수 나무
가시 말발도리
고목나무를 타고 오르는 담쟁이-잎이 하나가 나서 귀엽다
뱀딸기
박새
박새-확대 촬영
은꿩의다리-미나리 아제비과
꿀풀
노루오줌
홍릉터의 유래
영휘원,숭인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