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8년전 어느날 골프 연습장 벽면에 걸린 대형 사진에 눈이 멈춘적이 있었다.
그것은 계곡을 흐르는 바위에 이끼가 파랗게 달라붙어 있었고
그 바위 틈 사이로 맑게 흐르는 계류가 물이 아니라 안개가 흐르는 것 같았다.
그 모습이 너무나 아름다웠고 어떻게 표현했기에 물이 안개 처럼 보이는 지 이해 할 수가 없었던 적이 있었다.
사진을 알고는 그 현장이 어디인지 어떻게 담는지 알아보게 되었고
그곳은 강원도 평창군 진부면 장전리에 있는 이끼 계곡이었다
드디어 지난 9월6일 먼 길을 찾아가서 미숙한 솜씨로 그 모습을 담아 보았다.
출발전에 책과 인터넷등에서 이끼에 대해서 검색도 해 보았다.
생각보다 다양한 종류와 태고의 모습을 지녀오는 지구에 생물이 탄생하던 초기부터 오늘날 까지 생명력을 이어온
대단한 식물이란 것을 알게 되었다.
♣이끼가 사는 곳
오늘날 이끼는 물 속에서 살던 조류가 차츰 진화하여 최초로 육상 생활에 적응하여 살게 된 식물이다.이끼는 지금도 결코 물 없이는 살수 없는 식물로서,반드시 물기가 있는 곳에서만 살 수 있다.
물기가 있는 곳이라면 어디서나 이끼의 모습의 쉽게 찾아 볼 수 있다. 단 공기가 맑고 바람이 잘 통하는 깨끗한 청정지역 이라야 한다.
♣이끼의 쓰임새
이끼는 몸도 작고 주의에서 흔히 볼 수 있어 별로 중요 하지 않은 식물로 생각한다. 하지만 이렇게 작은 이끼도 여러 가지 쓰임새가 많다.
한약방에서 흰털 이끼는 약으로 쓰고 있다 .중국에서도 독을 없애거나 피를 멈추게 하는데 이끼를 쓴다.
유럽에서는 우산 이끼가 균을 이겨내는 작용을 한다고 알려져 그 속에서 많은 약품 성분들을 뽑아내어 쓰고 있다.
벼에 큰 피해를 입히는 도열 병에는 꼬리 이끼에서 뽑아 낸 성분이 큰 효과가 있다고 밝혀졌다.
패랭이 우산이끼나 지네이끼 날개 이끼에서 나는 향기는 향료의 원료로 쓰인다.
이끼는 습기를 많이 품기 때문에 식물이 말라 죽지 않게 감싸 덮어 주는데도 많이 쓰인다.
바로 수삼이나 산삼을 캐면 이 이끼로 덮어서 신선도를 유지한다.
♣이끼의 종류
1.다리 이끼- 대형 이끼로 줄기의 높이가 약5센티미터 정도이다.2.작은 항아리 이끼- 여러 곳 땅 위에 잘나는 이끼이다.
3.활대 이끼- 초여름에서 가을에 걸쳐 생기며 혹 모양이 부풀어 있다.
4.물결 이끼- 북극을 중심으로 한 냉 지에 많이 자란다.
5.서리 이끼- 고산에서 큰 군락을 이루고 중앙 맥의 끝이 희고 서리가 내린 것같이 보인다.
6.수세미 이끼- 삭이 길어 수세미 이끼라고 부른다.
7.풀 위 주름 이끼- 긴 선형의 잎이 달리고, 잎이 마르면 오그라들며 말린다.
8.거친 잎 흰 이끼- 썩은 나무나 나무 줄기 등에 나고, 대형으로 윤이 난다.
9.억새 이끼-북반구에 널리 분포되어 있고, 길이가 약1센티미터 정도 된다.
※ 그러나 이끼류의 식물은 통상 우산이끼와 솔이끼, 두 가지 무리로 구별된다
줄기가 없이 몸 전체가 잎 모 양이고,헛뿌리를 가진 것이 우산이끼 무리이며
헛뿌리와 줄기 잎의 모양을 대충 갖추고 솔잎 모양을 한 것을 솔이끼라 부른다.
솔이끼는 대부분 유성 생식을 하나 몇몇 종류는 무성아를 만들어 무성번식을 하기도 한다. .
♣이끼의 생존 방법
우리주변의 식물 가운데에는 화려한 모습과 짙은 향기로 사람들의 마음을 매료시키는 식물이 있는가 하면볼품이 없고 향기가 적어 사람들의 관심을 그다지 끌지 못하는 식물이 있다.
그 모습이 보잘 것 없는 하등 식물에 속하지만
아무리 열악한 환경이라도 뿌리를 박고 자손을 퍼뜨리는 강인한 생명력을 가진 식물이 바로 이끼류이다.
이끼류는 식물과 전혀 다른 구조를 갖고 있는데 유성생식과 무성생식을 번갈아 한다.
이들은 대부분 뿌리와 줄기, 잎의 구분이 뚜렷하지 않고 각 부위의 역할도 그리 세분화되어 있지 않다.
또한 이끼류는 자신의 몸 속에 물을 저장할 수 있는 능력이 매우 큰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특히 물이끼는 자기 몸무게의 15~20배 가량의 물을 저장할 수 있다고 한다.
이끼는 분지(分枝)와 분절증식(分切增殖)에 의해, 잎이나 줄기의 작은 조각의 재생에 의해, 그리고 포자에 의해서 생식이 이루어진다.
포자는 알맞은 조건에서 발아하 여 가지가 있는 원사체(原絲體)로 자란다. 가지가 계속해서 갈라져 나와 녹색의 매트를 형성한다.
♣이끼의 꽃
이끼류의 식물들도 다 자라면 꽃을 피운다.
그러나 이끼 꽃은 보통 식물의 꽃과는 모양이 크게 달라 암술과 수술, 꽃잎과 꽃받침이 없다.
이끼 꽃의 생김새는 대략 줄기 끝의 잎이 크게 변해 꽃처럼 보이거나 우산처럼 솟아난 모습을 하고 있다.
그러나 이끼의 종류에 따라 꽃의 형태는 제각기 달라 어떤 것은 암꽃과 수꽃이 한 몸에 있는 것이 있고
솔이끼처럼 딴 몸에 있는 것도 있으며 수꽃이 더 발달돼 있는 것도 있다.
♥이끼꽃 모습
'사진 > 풍경'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양강 상고대 2차도전 (0) | 2013.01.12 |
---|---|
소양강 상고대 (0) | 2012.12.26 |
봉선사 연꽃,광릉수목원 (0) | 2012.07.18 |
3대가 공울 쌓아도 포착하기 힘든 순간 (0) | 2012.04.15 |
국가 지정 명승지 (0) | 2012.04.03 |